본문 바로가기

프로그래밍/C언어

(4)
상수 상수 - 상황에 따라서 다른 값을 가질 수 있는 변수와는 달리 상수는 어떤 상황에서도 변하지 않는 값 ex) int a = 3; 3-> 상수 상수의 종류 1. 리터럴 상수 - 1, 2, 3, a, b, c 등 숫자나 문자를 읽을 때 읽은 그대로의 의미가 있는 것들 - 정수형 상수, 실수형 상수, 문자 상수, 문자열 상수가 있다. 정수형 상수(소수점이 포함되지 않은 상수) #include int main() { printf("10진수 정수형 상수 %d + %d = %d 입니다. \n", 10, 20, 10+20); printf("16진수 정수형 상수 %x + %x = %x 입니다. \n", 10, 20, 10 + 20); printf("8진수 정수형 상수 %o + %o = %o 입니다. \n", 10, 2..
변수 - 데이터를 보관하는 용도로 메모리를 사용하게 된다. - 데이터 : 변수에 저장되는 값 - 정수형 변수 : char, short, int, long - 실수형 변수 : float, double, long double 변수 선언 방식 #include int main() { int a; int b; printf("%d", a); printf("%d", b); } 문제점 위의 방식대로 선언했을 때 문제가 발생한다. 왜냐하면 변수는 선언하였으나 아무 데이터도 저장하지 않았기 때문이다. 에러가 발생한다. 따라서 #include int main() { int a = 0; int b = 7; printf("%d\n", a); printf("%d\n", b); } 아래처럼 변수에 값을 넣어줘야 한다. 즉 초기화 해줘야..
scanf_s에서 문자열 입력받기 char name[20]; int num3; printf("이름과 학번을 입력하세요 \n"); scanf_s("%s %d", name, sizeof(name), &num3); printf("이름 : %s 학번: %d", name, num3); scanf_s("%s %d", name, sizeof(name), &num3); num3는 숫자 입력이니 신경쓰지 않아도 되고, name, sizeof(name) -> 이 두 부분을 적어줘야한다. 어디에 저장할지, 그리고 사이즈 지정을해줘야한다. scanf가 안되서 scanf_s로 진행 참고로 scanf_s로 문자열을 받을 때 char name[20]에서 20의 양을 제대로 지켜야한다. 그렇지 않고 양을 초과할 시 값을 받지 않는다. 20 -> 영어 단어로 19글자..
전처리기 #, 헤더파일 전처리기 #include int main() { printf("Hello C World"); return 0; } 맨 위에 #include 가 작성되어있는데 여기서 #은 전처리기를 의미하며 컴파일러가 컴파일을 수행하기 전 먼저 처리하라는 의미 즉 전처리기란 컴파일러가 컴파일을 수행하기 전 먼저 처리하라는 의미 헤더파일 #include -> stdio.h는 헤더 파일의 이름이다 즉 #include 는 헤더파일을 가져오는 기능 는 헤더파일 명을 나타내는 것이다. 참고로 헤더파일은 사용자가 직접 만들수도 있으며 기본으로 제공하는 헤더파일을 불러올 때는 안에 사용자가 만든 헤더파일을 불러올 땐 대신 ""(쌍따옴표)를 사용한다. 참고로 stdio.h을 가져온 이유는 printf라는 기능이 안에 있기때문이다. 해당..